문화

마음까지 청량해지는, 경북 봉화 청량산 [두시기행문]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경북 봉화에 있는 청량산은 높지 않은 산이지만 풍광의 아름다움이나 역사적 의미는 뛰어나다.


경북 봉화를 대표하는 명산인 청량산은 최고봉 장인봉을 중심으로 12개의 가지각색의 봉우리들이 있고 산자락엔 낙동강이 웅장한 절벽을 끼고 유유히 흐르고 있는 아름다운 산이다

해발 천미터를 넘지 않는 높지 않은 산이지만 그 속에 위용이나 아름다운 만큼은 다른 산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다

최고봉 장인봉의 높이는 870m로 원래 이름이 대봉(大峯)이었다. 이름처럼 멀리서 보면 다른 봉우리에 비해 상당히 크고 아름답다.

1982년 청량산 일대 52.8㎞가 도립공원으로 지정됐고, 2007년 3월에는 학술적, 경관적, 역사적인 가치를 인증받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됐다. 2008년 5월에 선학봉과 자란봉을 연결하는 하늘다리를 준공했는데, 통과폭 1.2m에 90m 길이를 자랑하는 이 다리는 청량산을 대표하는 시설이 됐다.



확대보기
▲ 경북 봉화 청량산에 있는 하늘다리는 국내 산악형 현수교 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해 아찔하지만 멋진 풍경을 조망할 수 있는 장소로 인기가 높다.


다리가 지상 70m에 위치해 국내 산악형 현수교량 중 가장 높은 곳에 있다. 높이가 높이이니만큼 아찔한 스릴도 즐길 수 있고 풍경이 좋아 많은 등산객과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그뿐만 아니라 청량산 안에 27개 사찰과 암자가 있었던 유지가 있고 신라 문무왕 3년(663년)에 원효대사가 창건한 청량사도 만나볼 수 있다.

청량사는 길지 중 길지로 뽑히는 곳으로 대한민국 사찰의 정취와 고즈넉함을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청량산의 육육봉(12봉우리)이 마치 연꽃처럼 청량사를 에워싼 모습이다.

이곳에는 보물이 두 개 있는데 경북 유형문화재(제47호)인 유리보전과 지불인 약사여래불이다. 약사여래불을 모시는 유리보전은 고려 공민왕의 친필 현판이 있다. 이곳에 있는 약사여래불은 특이하게도 종이를 바르고 그 위에 삼베를 입힌 건칠불인 지불(紙佛)의 형태를 하고 있다.



확대보기
▲ 경북 봉화 청량사에 있는 오층석탑. 유리보전과 지장전에서 내려오는 길목에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위용을 자랑하며 서 있다.


무료 주차장인 입석 추장에서 도보로 30분이면 이동이 가능해서 정상까지 가지 않고 청량사에만 가도 청량산의 풍경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청량산 등산코스는 짧게는 2시간부터 길게는 8시간까지 다양하다. 등산객의 체력과 실력에 맞게 방문하고 대부분 쉽지 않은 코스인 만큼 안전장비를 챙기는 것이 좋다

산 초입에는 숙소 및 캠핑장과 함께 다양한 토속음식을 즐길 수 있는 식당들이 있어 방문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현재 청량산은 지난 1월 24일부터 5월 15일까지 산불 예방을 위해 등산로를 통제하고 있다.

김희중 칼럼니스트 iong5636@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푸틴, 떨고 있나…美 에이태큼스보다 무서운 ‘우크라 자체 미
  • ‘생존 한계’ 시험할 폭염 온다…‘4월 기온 49도’ 찍은
  • 일본, 어쩌다 이 지경까지…‘트럼프 모자 굴욕’ 논란 휩싸인
  • 순찰 중에 무슨 짓이야…아르헨 남녀 경찰 파면 위기
  • “노스트라다무스 2025년 예언 적중”…예언집에 담긴 내용
  • (영상) “결국 선 넘었다”…인도 미사일에 ‘불바다’ 된 파
  • ‘864억짜리’ 전투기, 바다로 ‘꼬르륵’…“항모에서 미끄러
  • (영상) “아마도 세계 기록”…2분 만에 러 미사일 11발
  • “67명 사망한 대참사 잊었나”…‘군 VIP’ 탓에 민간 항
  • ‘게임체인저’라며?…獨 전차 ‘레오파드2’ 알고 보니 우크라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