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은 지금

북한 정찰위성 발사에 대만 “엄중한 우려와 규탄” [대만은 지금]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확대보기
▲ 북한이 21일 심야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발사한 군사정찰위성. 지난 5, 8월에 이어 3번째 발사다. 연합뉴스
이날 대만 외교부는 21일 저녁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 것에 “가장 엄중한 우려와 규탄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이행하고, 대화를 통해 한반도 및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증진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는 올해 5월과 8월 유사한 발사체의 발사 실패에 이은 세 번째 시도이며 올해 들어 22번째 미사일 발사였다”라면서 “북한이 미사일 시험발사, 군사위성 발사 등을 통해 무력을 동원하고 강압적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다시 한번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훼손했다”고 했다.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중국은 대만과 다른 입장을 밝혔다. 대만 중국시보에 따르면, 22일 중국 외교부 마오닝 대변인은 “북한 정찰위성 발사 발표에 각 측의 반응을 주목하고 있다”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정세가 이런 건 원인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마오 대변인은 이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고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과정을 진전시키는 것은 지역 국가들의 공동 이익에 부합된다”라면서 “의미 있는 대화를 시작하고 균형 잡힌 방식으로 양측의 합리적인 우려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이중 경로 접근 방식과 단계적 동시 진행 원칙을 따르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중국은 계속해서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추진하는 데 건설적인 역할을 발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전날인 21일 오후 10시 42분에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 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성공적으로 발사했다며 천리마-1형이 예정된 비행 궤도를 따라 정상 비행해 만리경-1호를 궤도에 진입시켰다고 주장했다. 이에 일본 마츠노 히로유키 일본 관관방장관은 정찰위성이 지구 궤도에 진입한 것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방위성이 분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한국 합동참모본부는 “21일 오후 10시 43분경 북한이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발사해 백령도와 이어도 서쪽 공해 상공을 통과한 ‘북한이 주장하는 군사정찰위성’ 1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일본도 북한이 일본 오키나와 방향으로 최소 한 발의 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5월 31일과 8월 24일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탑재한 우주발사체 ‘천리마’ 발사에 실패한 뒤 22일 0시부터 30일 자정 사이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며 3차 발사를 예고했다. 하지만 3차 발사는 22일이 되기 전에 실시됐다.

류정엽 대만 통신원 koreanlovestaiwan@gmail.com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EN 연예 핫이슈
추천! 인기기사
  • 푸틴, 떨고 있나…美 에이태큼스보다 무서운 ‘우크라 자체 미
  • ‘생존 한계’ 시험할 폭염 온다…‘4월 기온 49도’ 찍은
  • 일본, 어쩌다 이 지경까지…‘트럼프 모자 굴욕’ 논란 휩싸인
  • 순찰 중에 무슨 짓이야…아르헨 남녀 경찰 파면 위기
  • “노스트라다무스 2025년 예언 적중”…예언집에 담긴 내용
  • (영상) “결국 선 넘었다”…인도 미사일에 ‘불바다’ 된 파
  • ‘864억짜리’ 전투기, 바다로 ‘꼬르륵’…“항모에서 미끄러
  • (영상) “아마도 세계 기록”…2분 만에 러 미사일 11발
  • “67명 사망한 대참사 잊었나”…‘군 VIP’ 탓에 민간 항
  • ‘게임체인저’라며?…獨 전차 ‘레오파드2’ 알고 보니 우크라
  • 나우뉴스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등록번호 : 서울 아01181  |  등록(발행)일자 : 2010.03.23  |  발행인 : 김성수 · 편집인 : 김태균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Tel (02)2000-9000